농수산물유통론-경매사1차(필기)시험

요즘 농식품 소비 트렌드가 좀 어때? - 1편 [농수산물유통론]

가락시장이박사 2024. 12. 11. 09:28

안녕하세요?

경매사시험을 통과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가장 확실하고, 빠르게 합격의 지름길을 안내한다고 자부하는 "경매사따거"입니다.

오늘은 경매사시험 1차(필기)시험 출제과목 중에서 [농수산물유통론]과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농수산물유통론은 시험범위가 굉장히 넓지만, 출제되는 내용은 한정되어 있어 어떻게 보면 무지하게 쉽고, 자칫 실수하면 고득점을 받기가 어려운 참 아리송한 시험과목이라 사료됩니다.

그래서 농수산물유통론에 대해서는 얼마전에 실시했던 제22회 경매사시험 기출문제를 바탕으로 이론공부를 하고, 역대 관련있는 기출문제를 풀어보면서 시험공부를 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우선 제22회 경매사 기출문제부터 풀어볼까요?


제22회 경매사 기출문제

51. 최근 농식품 소비 트렌드에 관한 내용으로 옳은 것은?

① HMR 구매 증가

② 육류 소비 증가

③ 곡물 소비 증가

④ 소포장 구매 감소

정답 ①번
설명 #HMR: 가정에서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1차 조리된 식품
             [가정 간편식]

제22회 경매사 기출문제에서 언급된 내용은 최근 농식품 소비 트렌드에 대해서 입니다.

여기서 중요한 단어는 "최근"이라는 단어입니다.

최근에는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편의성 추구, 소득 및 삷의 질 추구 등 사회 전반적으로 변화되면서 농식품 소비패턴도 크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최근 농식품 소비 패턴(트렌드)에 대한 문제는 농수산물의 특징과 더불어 농수산물유통론에서 가장 쉬운 문제 중에 하나입니다.

따라서 반드시 출제되면 맞춰야 하는 이유가 됩니다.

자~ 지금부터 최근 농식품 소비패턴에 대해서 증가하는 것과 반대로 감소하는 것을 구분하여 학습을 한 이후에 역대 기출문제를 풀면서 안정적인 공부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농식품 소비패턴(트렌드) 요약   

증가 감소

(핵가족화, 여성의 사회진출, 편의성 추구)
# 가공식품 수요
# 외식
#가정 간편식(HMR)
#소포장

(삶의 질 향상, 소득증대)
#건강농식품
#안전농식품
#친환경농식품
#고기 소비

(소비자의 편의성 추구)
#대형할인점 구매
#편의점 구매
#온라인 구매

#엥겔계수

#곡물 소비

#재래시장 구매














제21회 경매사 기출문제

51. 최근 유통 환경 변화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인구 고령화 심화

② 핵가족 및 1인 가구의 증가

③ 온·오프라인 간의 경계 강화

④ 남·녀 간 역할 구분의 완화

정답 ③번
설명 #온·오프라인 간의 경계가 완화되고 있음


제20회 경매사 기출문제

55. 최근 농수산물 소비구조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1인 가구의 증가로 소포장 농산물의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② 비대면 소비의 확산으로 수산물의 온라인 구매가 감소하고 있다. 

③ 영양섭취의 균형을 추구하여 쌀 소비가 증가하고 있다.

④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육류 소비가 감소하고 있다.

정답 ①번
설명 #1인 가구 증가로 소포장, HMR, 가공식품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제19회 경매사 기출문제

52. 우리나라 소비자의 농수산식품 소비패턴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가정 간편식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② 가공식품 소비는 최근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③ 식품 안전에 대한 인식이 고조되고 있다.

④ 식품 소비패턴이 다양화, 간편화, 고급화되고 있다.

정답 ②번
설명 #핵가족화,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생화 편의성 추구로 가공식품 소비가 증가


최근까지 농식품 소비 패턴(트렌드)에 대한 문제는 매년 출제되었습니다.

어쩌면 굉장히 쉬운 내용이지만,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내용이라고 출제담당위원님들이 생각하셨나 봅니다.

이렇게 농식품 소비가 바뀐 것은 우리 사회가 변화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연관지어서 공부하시기 바랍니다.

아쉽게도 제18회 경매사시험 농수산물유통론에서 출제되지 않았습니다.

그럼, 그 이전에는 출제되었는지에 대해서 찾아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