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경매사자격증 취득을 위해서 공부하시는 분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드린다고 자부하는 "경매사따거"입니다.
오늘은 경매사시험 중 상품성평가(청과)에 반드시 출제되는 식물호르몬인 "에틸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흔히들 노화와 관련되어 있어서 수확 후 반드시 관리해야 하는 것으로 에틸렌에 민감한 품목과 피해작물 증상, 그리고 에틸렌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물질이 무엇이냐 등이 대부분의 출제경향입니다.
그럼, 이런 경향에 맞추어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에틸렌의 정의
![]() |
기체로 된 식물호르몬 (C2H4의 화학식을 갖는 유기화합물) |
2) 에틸렌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
1 | 숙성과 노화에 영향 |
2 | 과육의 연화와 후숙 등 여러가지 생리적 변화를 유발 |
3 | 호흡을 증가시킴 |
3) 에틸렌 발생정도에 따른 구분
발생정도 | 채소류 | 과일류 |
높음 | 사과, 살구, 키위 복숭아, 배 아보카도 |
|
보통 | 토마토 멜론 |
바나나 무화과 망고 |
낮음 | 오이, 파프리카 호박, 가지, 고추 수박, 파 |
감 파인애플 |
매우 낮음 |
엽채류, 근채류 버섯, 딸기 아스파라거스 |
포도 감귤류 |
4) 에틸렌 민감 반응에 따른 구분
민감정도 | 채소류 | 과일류 |
매우 민감 |
수박 오이 브로콜리 |
키위 감 자두 |
민감 | 멜론, 가지 애호박 토마토, 당근 |
서양배, 살구 무화과, 대추 바나나 |
보통 | 토마토 늙은호박 고추 |
사과(후지), 포도 복숭아, 오렌지 밀감 |
둔감 | 앵두 신고배 |
5) 에틸렌으로 인한 장해(★★)
품목 | 피해유형 | 장해 |
시금치, 브로콜리 애호박, 파세리 |
엽록소 분해 |
황화 |
대부분의 과실류 |
성숙 및 노화촉진 | 연화 |
양상추 |
잎의 장해 | 반점형성 |
당근 | 맛 변질 |
쓴맛 증가 |
감자, 양파 |
휴먼타파 |
발아촉진 |
아스파라거스 |
육질경화 |
조직이 질겨짐 |
6) 에틸렌 억제제 및 전구물질(★★★★)
억제재(흡착제) | 전구물질 |
#과망간산칼륨(KMn04) #1-MCP #목탄 #활성탄 #제올라이트 #AVG #STS #이산화염소 #오존(플라즈마) |
#ACC - 에틸렌 전구물질(유도체) → 산소가 있는 환경에서 ACC산화효소에 의해서 신속하게 에틸렌으로 전환 |
지금까지 에틸렌에 대해서 시험에 나올 만한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에틸렌에 민감한 원예작물은 무엇이며, 이로 인해 장해는 어떤 것이 있는냐?가 중요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에틸렌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을 찾는 것이 시험에 가장 많이 출제된다는 것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맛보기로 최근 제22회 경매사 기출문제 중에서 에틸렌에 관한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
제22회 경매사 기출문제
32. 원에산물의 저장 중 에틸렌에 의해 나타나는 증상으로 옳게 연결한 것은?
○ ( ㄱ ) : 중륵이 갈변된다. ○ ( ㄴ ) : 쓴맛이 나타난다. |
① ㄱ: 시금치, ㄴ: 양파
② ㄱ: 멜론, ㄴ: 시금치
③ ㄱ: 결구상추, ㄴ: 당근
④ ㄱ: 토마토, ㄴ: 브로콜리
정답 | ③번 |
해설 | ![]() |
에틸렌에 대한 이론공부와 실제 제22회 경매사 기출문제까지 풀어보았습니다.
에틸렌과 관련한 문제는 매번 시험에 출제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제22회 이전에는 어떻게 에틸렌과 관련 문제가 나왔는지, 다음번 글에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상품성평가(청과)-경매사1차(필기)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매사시험에서 "오이" 관련 기출문제가 몇 개나 출제되었는가? (0) | 2024.12.18 |
---|---|
경매사시험을 합격하기 위해서는 오이 상품성평가 정도는 쉽게 해야지요~ (0) | 2024.12.18 |
뭐야~ 이렇게 많이 "에틸렌"관련 경매사 기출문제가 출제됐어? (0) | 2024.12.15 |
상품성 공부의 시작은 "농산물 표준규격의 제2조 정의" (0) | 2024.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