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이어 오이 상품성 평가 두번째 시간으로 실전 경매사 기출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들어 상품성평가 문제가 단편적인 품목에 대한 정보를 묻기 보다는 좀더 종합적인 사고를 요구하는 문제로 바뀌고 있습니다.
하지만, 기본을 알아야 응용력도 생기기 때문에 차근차근 배워보도록 합시다.
올해 2024년 제22회 경매사시험 부터 오이관련 기출문제에 대해서 이론공부 복습한다는 의미에서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제21회 경매사 기출문제
36. 0℃ 저장 시 저온장해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품목은?
① 배추
② 당근
③ 마늘
④ 오이
정답 | ④번 |
설명 | ![]() |
제17회 경매사 기출문제
40. 농산물 표준규격상 가시계 오이의 '모양' 항목에서 구부러진 정도의 '특' 등급 기준은?
① 2.0cm 이내인 것
② 3.0cm 이내인 것
③ 4.0cm 이내인 것
④ 5.0cm 이내인 것
정답 | ①번 |
설명 | ![]() |
제14회 경매사 기출문제
39. 농산물 표준규격에서 취청계 오이의 구부러진 정도가 등급 규격 "특" 조건에 해당하는 것은?
① 1.5cm 이내인 것
② 2.0cm 이내인 것
③ 3.0cm 이내인 것
④ 4.0cm 이내인 것
정답 | ①번 |
설명 | ![]() |
제13회 이전 경매사 기출문제
Q. 오이의 표준규격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상품" 이상은 꼭지가 마르지 않고 신선하여야 한다.
② "특품" 은 중결점과 및 경결점과가 없어야 한다.
③ "다다기계 "특품"의 구부러진 정도는 1.5cm 이내이어야 한다.
④ 가시계 "특품" 낱개고르기는 평균 길이 ±2.0cm를 초과하는 것이 20%이하인 것이어야 한다.
정답 | ④번 |
설명 | ![]() |
제13회 이전 경매사 기출문제
Q. 오이에는 쓴맛을 내는 수용성 알카로이드 성분이 있는데, 어느 경우에서 쓴맛 발생율이 많은가?
① 칼륨과다와 과습조건
② 질소과다와 토양수분부족
③ 질소부족과 과습조건
④ 칼륨부족과 고온조건
정답 | ②번 |
설명 | 오이에는 쿠쿠르비타신이라는 성분이 있는데요, 이 성분이 오이의 쓴맛을 냅니다. 이 성분들은 오이 외에도 수박이나 참외, 멜론 등의 박과 식물이 설익은 경우에 생기는 데 사람에게도 영향을 줄 정도로 독성이 강하여 식중독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쓴맛 발생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수분부족: 일반적으로 밑거름과 화학비료를 사용하기에 토양농도가 짙어지는데요, 농도를 희석시키기 위해서 물을 충분해야 합니다. 2)토양 질소 성분과다: 낮이 길어지고 기온이 올라가면 증산작용에 의한 수분 증발이 많아지게 됩니다. |
제13회 이전 경매사 기출문제
Q. 오이류의 흰가루병이나 토마토 덩굴쪼김병이 온실 내에서 많이 발생하는 이유는?
① 건조, 일조과다
② 건조, 일조부족
③ 다습, 일조과다
④ 다습, 일조부족
정답 | ②번 |
설명 | ![]() |
지금까지 오이에 관한 그동안의 경매사 기출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출제되는 유형이 몇 도 구부르러져야 특인지? 기본적인 상품성 평가항복에 대한 지식이 있는지? 오이 관련 장해에 대한 원인에 대해서 아는지? 등으로 출제유형을 파악할 수 있었습니다.
공부할 것이 많은 상품성 평가 입니다.
채소 뿐만 아니라, 과일 품목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알아야 합니다.
전부 다 외우기에는 어렵기 때문에 그동안 경매사 기출문제에 많이 언급된 과일과 채소 위주로 선별하여 10~15개 정도를 지정하여 외우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그 외에는 수확 후 관리론에 언급되는 내용과 농산물품질관리규격(국립품질관리원)에 대한 공부를 하시면 큰 문제없이 상품성평가에서 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씀드립니다.
저는 다음 시간에 또 찾아오겠습니다.
'상품성평가(청과)-경매사1차(필기)시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매사시험을 합격하기 위해서는 오이 상품성평가 정도는 쉽게 해야지요~ (0) | 2024.12.18 |
---|---|
뭐야~ 이렇게 많이 "에틸렌"관련 경매사 기출문제가 출제됐어? (0) | 2024.12.15 |
무조건 경매사시험에 출제되는 식물호르몬은 "에틸렌" (0) | 2024.12.15 |
상품성 공부의 시작은 "농산물 표준규격의 제2조 정의" (0) | 2024.12.12 |